사업개요
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1단계 또는 2단계 대경권광역경제권선도산업 R&D수행기업(태양광ㆍ연료전지)을
지원
또한 대경권 내에 본사 혹은 지사, 연구소 등 시설이 소재하고 있는 태양광 및 연료전지
직접 연관기업 및 전후방 연관기업(비R&D기업)을 지원해 드립니다.
☞ 사업화, 기술, 인력양성을 지원
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지원조건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지원분야 및 대상
- 지원분야 대상
- ㅇ 1단계 또는 2단계 대경권광역경제권선도산업 R&D수행기업(태양광·연료전지)
ㅇ 대경권 내에 본사 혹은 지사, 연구소 등 시설이 소재하고 있는 태양광 및 연료전지 직접
연관기업 및 전후방 연관기업(비R&D기업)
ㅇ 현재 타 산업분야에서 태양광, 연료전지 분야로 사업을 확장 또는 전환하고자 하는 기업
ㅇ 채용장려금지원 사업의 경우 마이스터고, 특성화고 및 전문학사 졸업 후 신규 고용되는
정규직 인력
- ㅇ 1단계 또는 2단계 대경권광역경제권선도산업 R&D수행기업(태양광·연료전지)
- 지원제외 대상
- ㅇ 사업지원기업 모집공고일 기준 국세 및 지방세 체납기업
ㅇ 부도, 화의, 법정관리중인 기업
ㅇ 국비 및 지방비를 통하여 동일 분야에 대해 지원받고 있는 기업(중복지원 불가)
ㅇ 지원인력이 타(정부, 민간) 고용지원 사업(인건비)의 지원을 받고 있는 자
- ㅇ 사업지원기업 모집공고일 기준 국세 및 지방세 체납기업
지원조건 및 내용
- 신청기간
- 2013. 10. 1.(화) ~ 2013.10.28.(월) 18:00까지
- 지원조건 내용
- ㅇ 지원내용 및 조건
- 사업화지원(단위 : 천원)지원분야
지원내용
사업비
비고
사업화지원
ㅇ 전자카탈로그 제작지원
ㅇ 최대지원금 : 5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태양광/
연료전지
ㅇ 홍보 및 광고
ㅇ 최대지원금 : 2,5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태양광/
연료전지
ㅇ 소형모형(시제품)제작지원
ㅇ 최대지원금 : 10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연료전지
ㅇ 국내외 전시회참가지원
ㅇ 최대 8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태양광/
연료전지
ㅇ 신 시장개척
전략수립컨설팅지원ㅇ 최대 8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태양광
ㅇ 해외진출 컨설팅 지원
ㅇ 최대 6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연료전지
ㅇ 전문가활용을 통한
애로사항 개선ㅇ 최대 3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연료전지
※ 선정평가 후 사업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음
※ 전시회 참가지원 사업은 2013년 11월 ~ 2014년 4월 이내 개최되는 전시회에 한함
※ 지원 내용에 따라 지원 금액의 10% 현금 부담 있음
- 기술지원(단위 : 천원)지원분야
지원내용
사업비
기술지원
ㅇ 시제품제작지원
ㅇ 제품고급화지원ㅇ 최대지원금 : 18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ㅇ 그린에너지 인증지원
- Pre-인증, 역분석/고장시험분석
- 국내외 인증지원
- 분석 및 신뢰성평가지원 등
ㅇ 최대 4,000/건
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ㅇ 기술자문지도 지원
ㅇ 지적재산권 획득지원ㅇ 최대500/1회
ㅇ 최대2,000/건- 민간현금부담금 : 10%이상
※ 선정기업은 각 세부사업에서 정한 비율의 민간부담금(현금)을 협약 전에 부담하여야 함
(민간 부담금은 국비 지원금의 10% 이상)
※ 최종 지원금의 규모는 평가위원회의 심의 결과에 따라 결정됨
- 인력양성지원(단위 : 천원)지원분야
지원내용
사업비
기술지원
ㅇ 전문인력 양성 교육
ㅇ 교육프로그램 개설
ㅇ 채용장려금 지원
ㅇ 최대지원금 : 1,000/1인
- 연봉의 60%이내
ㅇ 교육프로그램 개설
- 수요자(기업) 맞춤형 특화 교육을 위한 수요 조사를 거친 후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
전문 인력 양성 및 육성을 목표로 진행 중
- 분야별 교육유형
ㆍ 연료전지 : 재직자 전문교육, 장비교육, 산업현장기반기술교육, 업종전환교육
ㆍ 태양광 : 재직자 전문교육, 장비교육, 기술경영교육, 자격증취득지원 교육
- 교육프로그램 상세내용 및 일정은 추후별도 공지
- ㅇ 지원내용 및 조건
지원절차
|
공고 |
→ |
선정평가 |
→ |
협약 |
|
|
|
|
|
|
→ |
사업수행 |
→ |
보고서제출 및 평가 |
|
|
신청방법 및 서류
- 신청방법
-
ㅇ 방문 또는 우편접수
- 접수처 : 아래의 기관에서 공통 접수 가능신청분야
수행기관명
담당자
주소
사업화지원
경북테크노파크
심은경 연구원
(인프라사업팀)
(712-210)
경북 경산시 삼풍로 27
포항테크노파크
이민호 연구원
(소프트웨어융합팀)
(790-834)
경북 포항시 남구 지곡동 601번지
기술지원
구미전자정보기술원
김삼수 연구원
(IT융합기술연구팀)
(730-853)
경북 구미시 산동면
첨단기업1로 17대구테크노파크
나노융합실용화센터
오주하 선임연구원
(성과확산팀)
(704-801)
대구시 달서구 대천동 891-5번지
인력양성지원
금오공과대학교
산학협력단
이나겸 연구원
(그린에너지
산업화지원센터)(730-701)
경북 구미시 양호동
1번지 금오공과대학교
글로벌관 567호
-
- 신청서류
-
No.
제출서류
비고
1
사업신청서 원본 1부(양식), 사본 6부(양식 있음)
사업화지원
기술상용화지원
2
사업자등록증(사본) 1부/법인등기부등본 1부(법인에 한함)
3
2011년, 2012년 재무제표 각 원본 1부(세무서발행)
4
기타 선정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자료
(지적재산권 및 각종 인증/대외 수상내역 사본 각 1부)
1
채용장려금 지원 신청서 1부(양식)
인력양성사업
2
임금 지급 총괄표 1부
3
사용인감계 1부
-
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주관기관 | 경북테크노파크 | 담당부서 | 인프라사업팀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053-819-3036 | 홈페이지 URL | http://www.gbtp.or.kr |
담당자명 | 심은경 | 담당자 전화 | 053-819-3036 |
담당자 FAX | 053-819-3059 | 담당자 이메일 |
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주관기관 | 경북테크노파크 | 담당부서 | 각 사업 담당부서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하단의 문의처 참조 | 홈페이지 URL | http://www.gbtp.or.kr |
담당자명 | 각 사업 담당자 | 담당자 전화 | 하단의 문의처 참조 |
담당자 FAX | 하단의 문의처 참조 | 담당자 이메일 |
기타사항
- 문의처
-
신청분야
수행기관명
연락처
담당자
사업화지원
경북테크노파크
Tel : 053-819-3056
Fax : 053-819-3059
심은경 연구원
(인프라사업팀)
포항테크노파크
Tel : 054-223-2233
Fax : 054-223-2220
이민호 연구원
(소프트웨어융합팀)
기술지원
구미전자정보기술원
Tel : 054-479-2165
Fax : 054-479-2170
김삼수 연구원
(IT융합기술연구팀)
대구테크노파크
나노융합실용화센터
Tel : 053-602-1725
Fax : 053-602-1839
오주하 선임연구원
(성과확산팀)
인력양성지원
금오공과대학교
산학협력단
Tel : 054-478-7911
Fax : 054-478-7912
이나겸 연구원
(그린에너지
산업화지원센터)
-
- 기타사항
-
※ 자세한 사항은 경북테크노파크(www.gbtp.or.kr) → 고객마당 → 공지사항을 참조
(☞ 바로가기)
-
특허/디자인/상표 길잡이 브레인국제특허 http://brainasset.net
대표전화 02-869-078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