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개요
- 서울, 경기도, 경북, 부산 소재 스마트 프로덕트 제조 및 제조예정 중소 · 중견기업을
대상으로 제작, 디자인, 컨설팅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서울, 경기도, 경북, 부산 소재 스마트 프로덕트 제조 및 제조예정 중소 · 중견
기업 신청 가능
헬스케어, 엔터테인먼트, 스포츠, 리빙(Living), 산업(Industrial)분야의 스마트프로덕트
제품화와 관련된 과제여야 합니다.
☞ 제작, 디자인, 컨설팅 등을 지원
과제당 35,000천원 내외로 지원해 드립니다.
지원분야 및 대상
- 지원분야대상
ㅇ 지원대상
- 서울, 경기도, 경북, 부산 소재 스마트 프로덕트 제조 및 제조예정 중소ㆍ중견기업
ㆍ1, 2차 예비과제 선정 기업의 경우, 사전 컨설팅 결과가 심사과정에 적용됨
ㆍ1, 2차 예비과제 탈락기업도 과제 신청이 가능하며 우대 가점 없음
ㅇ 지원분야
- 헬스케어, 엔터테인먼트, 스포츠, 리빙(Living), 산업(Industrial)분야의 스마트 프로덕트
제품화 관련된 과제
지원조건 및 내용
- 신청기간
~ 2012. 11. 6(화) 18:00까지 - 업체선정
ㅇ 지원건수 : 지역별 대응 사업비에 따른 차등 선정
지역
선정 후보과제 수비고경기도4개 과제 이내
(*수원, 안산 소재기업가점 부여)제시된 과제수는 최대치이며, 우수과제가 부족할 경우 최대치를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부산광역시2개 과제 이내경상북도1개 과제 이내ㅇ 평가일정 : 11월 초순(자세한 내용은 별도 공지)
ㅇ 1차 서면평가
- 1-3세부 사업 책임자와 외부 인력 3~8인을 평가위원으로 위촉, 서면평가 실시
- 평가기준 : 사업의 필요성 및 목표(20점), 사업추진 계획의 적절성(30점), 지원대상
품목의 시장성(10점), 지원대상 품목의 기술성(10점), 상용화 전략(20점), 기업의
추진역량(10점), 컨설팅 결과(가점 20점), 인증/지재권 보유 여부(가점 10점)
※ 컨설팅은 기술 디자인 기획 및 시제품 개발 지원 예비과제 선정된 업체에 한함
※ 인증서 보유기업 최대 5점(녹색기술 5점, 이노비즈 3점, 벤처기업 2점 등)
※ 인증서, 지식재산권 보유기업 최대 5점(특허등록 건당 2점, 실용신안등록 건당
1점 등)
※ 85점 이상 득점 시, 발표 평가 기회 제공
ㅇ 2차 발표 평가
- 1-3세부 사업 책임자와 외부 인력 5~8인을 평가위원으로 위촉, 프리젠테이션 발표
(15분 발표, 5분 질의응답) 평가 실시
- 평가기준 : 품목의 시장성(20점), 품목의 기술성(20점), 품목의 상용화 전략(30점),
기업의 추진 역량 및 의지(30점) - 지원조건내용
ㅇ 사업명 :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스마트 프로덕트 신산업 육성
ㅇ 사업비 : 과제당 35,000천원 내외(별도 연계사업 신청도 가능)
ㅇ 사업기간 : 사업선정일 ~2013년 4월
ㅇ 지원건수 : 서울(2), 경기도(13), 부산(3), 경북(1)
ㅇ 지원내용
- 제작 지원
ㆍ모바일앱 개발업체와의 협의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용 서버제작 지원
ㆍ전자부품 제조업체와의 협의를 통한 기판 설계지원
ㆍ금형제작 업체와의 협의를 통한 외형 제작 지원
ㆍ목업, RP를 통해 시작품 제작 지원
- 디자인 지원
ㆍ성균관대 SMARDI사업단과 공동 작업을 통한 제품 및 UI 디자인 지원
ㆍ공동 브랜드화를 위한 디자인 및 캐릭터 지원
- 컨설팅 지원
ㆍ각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한 디자인, 어플리케이션, 하드웨어 부문 컨설팅
ㆍ기존 중소기업이 개발한 제품 중 스마트프로덕트로 개발할 경우 제품성이 높다고
판단되는 경우 스마트 프로덕트化 컨설팅
- 기타 지원
ㆍ제품 개발에 공통 플랫폼 기술 적용(인증 및 특허)
ㆍ2세부 연계 사업화 지원(특허 및 인증 지원, MWC전시회 참가, 기타 제품화 니즈에
맞는 상용화 지원 등 별도로 신청 필요)
ㆍ완성 시작품에 대한 시장조사 및 마케팅 전략 수립 지원(3세부 지원)
ㅇ 사업비 구성
지역
서울경기도부산경북과제 협약 기관숭실대경기TP경기TP(5), SMARDI(7)부산TP동의대경북TP사업비기업당 3,500만원 내외 지원 총사업비 = 지원금액 3,500만원 + 기업부담금(20%)지원기업수213211
지원절차
-
과제 제안서 접수
→
발표 프리젠테이션
평가 및 사업지원 선정→
사업 협약 및
사업 추진→
사업결과
보고 및 정산
신청방법 및 서류
- 신청방법
ㅇ 우편 또는 E-mail 접수
- 서울특별시, 경기도
ㆍ접수처 : (426-901)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 1271-11
경기테크노파크 녹색성장지원팀
ㆍE-mail : lsy@gtp.or.kr
- 부산광역시
ㆍ접수처1 : (617-030) 부산시 사상구 엄궁로 70-16
(재)부산테크노파크 B106호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
ㆍE-mail : ljh@spic.or.kr
ㆍ접수처2 : (614-714) 부산 부산진구 엄광로 995 산학협력관 2층
부산IT융합부품연구소
ㆍE-mail : gil1026@deu.ac.kr
- 경상북도
ㆍ접수처 : (712-210) 경북 경산시 삼풍동 경북테크노파크 300번지
ㆍE-mail : yearning21@gbtp.or.kr - 신청서류
ㅇ 신청서 등
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접수기관 | 부산테크노파크 | 담당부서 | 기술기업지원팀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051-320-3563 | 홈페이지 URL | http://www.btp.or.kr/ |
담당자명 | 이정희 | 담당자 전화 | 051-320-3563 |
담당자 FAX | 담당자 이메일 | ljh@spic.or.kr |
기타사항
- 문의처
ㅇ 서울특별시, 경기도 : 경기테크노파크 녹색성장지원팀 이상영 선임
- Tel : 031-500-3038, E-mail : lsy@gtp.or.kr
ㅇ 부산광역시
- 부산테크노파크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기술기업지원팀 이정희 사원
ㆍTel : 051-320-3563, E-mail : ljh@spic.or.kr
- 동의대학교 부산IT융합부품연구소 사업기획실 윤상길 선임
ㆍTel : 051-890-2772, E-mail : gil1026@deu.ac.kr
ㅇ 경상북도 경북테크노파크 성과확산팀 이종원 연구원
- Tel : 053-819-3043, E-mail : yearning21@gbtp.or.kr - 기타사항
※ 자세한 사항은 부산테크노파크(http://www.btp.or.kr) → 정보광장 → 사업공고를
참조(☞ 바로가기)
'정부 지원 사업 및 R&D 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테크노파크 - 2012 해외특허출원비용지원사업 신청접수 공고 -PCT 출원, 특허사무소 (0) | 2012.10.26 |
---|---|
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스마트 프로덕트 신산업 육성(기업지원) (0) | 2012.10.24 |
2012년 제3차 원자력연구개발사업 공고 (0) | 2012.10.24 |
울산테크노파크 - 녹색융합소재기술지원사업 산업재산권 출원 지원 참여업체 모집 공고 / 정밀화학소재기술연구소, 중소 벤처기업, 발명 및 신기술특허, 산업재산권 출원지원 (0) | 2012.10.24 |
대전테크노파크 - 2012년도 국내산업재산권(특허․실용신안)출원 지원대상 모집공고 -선행기술조사지원, 국내특허출원비용지원 (0) | 2012.10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