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개요
개발 및 부가가치 창출 기반을 지원합니다.
☞ R&D 과제 참여기업, 연관기업, 1단계 광역사업 참여기업, 호남권 풍력/태양광
관련 기업 지원
☞ 풍력/태양광 관련 기업의 기술기반 사업화 연계지원, 유망상품 개발 및 부가
가치 창출 기반을 지원
지원분야 및 대상
- 지원분야 대상
- ㅇ R&D 과제 참여기업, 연관기업*, 1단계 광역사업 참여기업**, 호남권 풍력/태양광관련 기업
* 선도산업 기술 및 유망상품의 성과창출과 연계된 부분에 한해 지원
** 1단계 광역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기업지원
- ㅇ R&D 과제 참여기업, 연관기업*, 1단계 광역사업 참여기업**, 호남권 풍력/태양광관련 기업
- 지원제외 대상
- ㅇ 현재 부도상태의 기업
ㅇ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,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
ㅇ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,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집중
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
ㅇ 파산ㆍ회생절차ㆍ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(단, 법원의 인가를 받은
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재를 정상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)
- ㅇ 현재 부도상태의 기업
지원조건 및 내용
- 신청기간
- 2013. 01. 02 ~ 2013. 01. 25
- 지원조건 내용
-
□ 전남테크노파크
ㅇ 풍력
* 지원항목 : 국내외 인증 획득지원, 국내외 우수 특허지원
* 지원금액 : 56,000천원 내외
1) 국내외 인증 획득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풍력발전기 개발 부품 및 제품에 대한 국내외 인증(설계평가, 형식시험, 제작평가
등)획득 지원
ㆍ 풍력발전기 관련 제품 성능 및 신뢰성 평가, 시험 평가/분석 및 시험성적서 발급 지원
- 지원조건
ㆍ 풍력 부품소재 개발 부품 및 제품에 대한 국내외 인증 획득 지원
ㆍ 인증 획득 비용의 5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26,000천원 내외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50%이내
국내 인증 획득 지원 : 2,000천원 내외/건
해외 인증 획득 지원 : 10,000천원 내외/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50%이상 현금부담
2) 국내외 우수 특허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풍력프로젝트 R&D수행 기업의 국내외 특허출원 및 출원직접비용(관납료, 특허
법인대행료 등)을 지원
- 지원조건
ㆍ 풍력발전기 부품소재 개발 부품 및 제품에 대한 국내외 우수 기술 특허 출원 지원
ㆍ 출원에 소요되는 비용의 5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30,000천원 내외(3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5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50%이상 현금부담□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
ㅇ 풍력
* 지원항목 : 기업 애로기술 멘토링 지원
* 지원금액 : 12,000천원 내외
1) 기업 애로기술 멘토링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지원대상기업의 기술개발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업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전문가
자문 및 1인 1사 멘토링 기술지원
- 지원조건
ㆍ 풍력 부품소재 개발 부품 및 제품과 관련된 기업애로기술 멘토링 지원
ㆍ 기술애로기술 멘토링 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12,000천원 내외(1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ㅇ 태양광
* 지원항목 : 시제품 제작지원, 기업 애로기술 멘토링 지원, 인증 획득 지원, 제품 고급화
지원, 제조 및 분석 관련 장비교육
* 지원금액 : 157,000천원 내외
1)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결정질 중심의 태양광 핵심소재 관련 시제품 제작 지원
- 지원조건
ㆍ 태양광 핵심소재 개발을 위한 우수기술의 시제품 제작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60,000천원 내외(10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정부자금으로 기 지원받은 시제품 제작의 경우 지원 제외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시제품 제작 지원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북대학교 신재생에너지소재개발지원센터
(NewREC)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2) 기업애로기술 멘토링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지원대상기업의 기술개발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업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전문가
자문 및 1인 1사 멘토링 기술지원
- 지원조건
ㆍ 태양광 부품 및 핵심소재 개발과 관련된 기업애로기술 멘토링 지원
ㆍ 기술애로기술 멘토링 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6,000천원 내외(1,000천원 내외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애로기술 멘토링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북대학교 신재생에너지소재개발지원센터
(NewREC)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3) 국내외 인증 획득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태양광 관련 제품 성능 및 신뢰성 평가, 시험 평가/분석 및 시험성적서 발급 지원
- 지원조건
ㆍ 태양광 부품소재 개발 부품 및 제품에 대한 국내외 인증 획득 지원
ㆍ 제품의 인증 획득 지원 비용의 5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35,000천원 내외(5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5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5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인증 획득 지원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북대학교 신재생에너지소재개발지원센터
(NewREC)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4) 제품 고급화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개발 제품 및 부품의 품질·기능향상을 위한 전문가 매칭 기술지원
ㆍ 제작 공정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로 개발제품의 생산성 향상 지원
- 지원조건
ㆍ 태양광 부품소재 개발 부품 및 제품 고급화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16,000천원 내외(2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제품고급화 지원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북대학교 신재생에너지소재개발지원센터
(NewREC)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5) 태양광 제조 및 분석 관련 장비교육
- 지원내용
ㆍ 태양광 핵심소재/전지/모듈 제조 및 분석 관련 중단기 장비교육
- 지원조건
ㆍ 태양광 핵심소재/전지/모듈 제조 및 분석 관련 업체
ㆍ 장비교육 비용 100% 지원(예산 한도 내)
- 총 지원 규모 : 40,000천원 내외(최대 500만원 미만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100%
※ 장비 교육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북대학교 신재생에너지소재개발지원센터
(NewREC)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□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
ㅇ 소형풍력
* 지원항목 : 소형풍력용 발전기 시제품 설계/해석/시험 지원, 발전기 기업 애로기술
상담 및 지도 지원, 발전기 제품 고급화 지원
* 지원금액 : 20,500천원 내외
1) 소형풍력용 발전기 시제품 설계/해석/시험 지원
- 지원내용
ㆍ 지원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설계 및 해석 S/W를 활용하여 지원대상기업의 개발
시제품에 대한 설계 및 해석기술을 지원
ㆍ 시장성 및 기술경쟁력을 갖춘 기업의 개발 부품 및 제품에 대한 시제품 설계, 시험평가
및 분석지원, 제작을 통한 개선내용 도출 및 보완으로 조기 실용화에 기여
ㆍ 기술개발 첨단고도장비 활용 지원으로 지원기업의 개발기간 단축 및 개발비용
절감에 기여
ㆍ 지원 대상기업에서 개발 부품 또는 제품에 대한 성능평가를 의뢰 시, 지원기관에
구축된 평가 장비 중 요청내용에 부합되는 평가 장비를 활용하여 전문 지원 인력이
평가를 수행하며, 지원기업의 요청에 따라 시험성적서 제공
ㆍ 지원기관에서 보유하지 않은 장비에 대한 해석 및 시험평가/분석 지원은 권역내외
관련 인프라 구축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지원
- 지원조건
ㆍ 소형풍력용 발전기 부품소재 개발을 위한 우수기술의 시제품 설계/해석/시험 및
고도장비활용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10,500천원 내외(3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본 사업에 현물 출자한 장비에 대해 지원요청내용에 대응하는 지원기관의 자체 보유
장비의 활용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 방문을 통해 실무
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2) 소형풍력용 발전기 기업 애로기술 상담 및 지도
- 지원내용
ㆍ 기술개발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업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현장 밀착형 기술상담 지원
ㆍ 지원대상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수요대응형 기술지도 지원
- 지원조건
ㆍ 소형풍력용 발전기 부품소재 개발과 관련한 기업의 애로기술 상담 및 지도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5,000천원 내외(2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애로기술 상담 및 지도는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(풍력) 방문을 통해
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3) 소형풍력용 발전기 제품 고급화 지원
- 지원내용
ㆍ 개발 부품 및 제품을 사업화와 연계하기 위해 제작공정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
개선 방안 제시
ㆍ 지원 대상기업에서 개발 중에 있거나 개발 완료한 부품 및 제품에 대하여 성능향상에
대한 요청이 있을시 관련 전문 기술을 제공하고, 자체 기술적 지원이 어려울 시 지역․
내외 전문가를 매칭하여 지원함
- 지원조건
ㆍ 기술경쟁력 및 시장성을 갖춘 부품 및 제품의 품질․기능 향상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5,000천원 내외(2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제품 고급화 지원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 방문을 통해
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ㅇ 태양광
* 지원항목 : 시제품시험평가 및 분석, 기업애로기술 상담/지도, 제품고급화 지원
* 지원금액 : 25,000천원 내외
1) 시제품 제작, 시험평가 및 분석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지원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험평가 및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개발 시제품에
대한 성능/신뢰성 평가 지원 및 개발 시제품의 성능 수준 개선을 위한 재질 특성
및 설계 보완 자료 제공
ㆍ 또한 지원 대상기업에서 개발 부품 또는 제품에 대한 성능평가를 의뢰 시, 지원
기관에 구축된 평가 장비 중 요청내용에 부합되는 평가 장비를 활용하여 전문 지원
인력이 평가를 수행하며, 전문가를 활용하여 기술적 검토내용을 부가한 시험성적서를
제공
ㆍ 지원기관에서 보유하지 않은 장비에 대한 시험평가 및 분석지원은 권역내외 관련
인프라 구축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지원
- 지원조건
ㆍ 태양광 핵심소재 개발을 위한 우수기술의 시제품 시험평가 및 분석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9,000천원 내외(3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태양광관련 시제품의 시험평가 및 분석 등은 시험/
분석료의 30% 할인 지원
※ 할인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(태양광) 방문을
통해 실무담당자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2) 제품 고급화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개발 제품 및 부품의 품질·기능향상을 위한 전문가 매칭 기술지원
ㆍ 제작 공정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로 개발제품의 생산성 향상 지원
- 지원조건
ㆍ 태양광 부품소재 개발 부품 및 제품 고급화 지원
제품 생산성 향상 관련 기술 지원
품질 및 기능 향상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16,000천원 내외(4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□ 전자부품연구원 광주지역본부
ㅇ 풍력
* 지원항목 : 풍력발전용 전력변환기 개발 관련 시제품 시험평가 및 분석지원, 고도
장비활용 지원, 기업애로 기술지도 지원, 제품 고급화 지원
* 지원금액 : 22,000천원 내외
1) 시제품 시험평가 및 분석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지원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험평가 및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개발 시제품에
대한 성능/신뢰성 평가 지원 및 개발 시제품의 성능 수준 개선을 위한 재질 특성
및 설계 보완 자료 제공
ㆍ 또한 지원 대상기업에서 개발 부품 또는 제품에 대한 성능평가를 의뢰 시, 지원
기관에 구축된 평가 장비 중 요청내용에 부합되는 평가 장비를 활용하여 전문 지원
인력이 평가를 수행하며, 전문가를 활용하여 기술적 검토내용을 부가한 시험성적서를
제공
ㆍ 지원기관에서 보유하지 않은 장비에 대한 시험평가 및 분석지원은 권역내외 관련
인프라 구축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지원
- 지원조건
ㆍ 풍력발전기 부품소재 개발을 위한 우수기술의 전력변환기 관련 시험평가 및 분석
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3,000천원 내외(3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본 사업에 현물 출자한 장비에 대해 지원요청내용에 대응하는 지원기관의 자체 보유
장비의 활용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자부품연구원 광주지역본부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
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2) 기술개발 고도장비활용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지원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첨단 고가장비 활용이 용이하도록 지원체계를 구축하여
기업의 입장에서 개발 기간단축 및 비용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조기실용화가
가능하도록 지원
- 지원조건
ㆍ 풍력발전용 전력변환기 관련 개발을 위한 고도장비활용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1,000천원 내외(1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본 사업에 현물 출자한 장비에 대해 지원요청내용에 대응하는 지원기관의 자체 보유
장비의 활용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자부품연구원 광주지역본부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
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3) 기업애로 기술지도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기술개발 과정에서 기업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현장 밀착형 기술상담, 지도 지원
수요 대응형 애로기술 지도 지원 : 기업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수요대응/현장밀착형
기술지도 및 상담 지원
- 지원조건
ㆍ 풍력발전용 전력변환기 개발과 관련된 기업애로 기술지도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3,000천원 내외(3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애로기술 상담 및 지도는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자부품연구원 광주지역본부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
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4) 제품 고급화 지원 사업
- 지원내용
ㆍ 풍력발전용 전력변환기 관련 개발 제품의 품질·기능향상을 위한 전문가 매칭 기술지원
ㆍ 제작 공정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로 개발제품의 생산성 향상 지원
- 지원조건
ㆍ 풍력발전용 전력변환기 개발과 관련된 제품 고급화 지원
ㆍ 제작비용의 70%이내 예산 한도 내 지원
- 총 지원 규모 : 15,000천원 내외(5,000천원 내외/건)
ㆍ 지 원 금 : 총 소요금액의 70%이내
ㆍ 기업부담금 : 총 소요금액의 30%이상 현금부담
※ 지원기관 자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제품 고급화 지원은 무상으로 지원
※ 무상 지원 내용에 대해서는 전자부품연구원 광주지역본부 방문을 통해 실무담당자
와의 신청서 작성 및 지원에 대한 세부 협의 후 진행
-
지원절차
신청 및 접수 |
→ |
선정평가 |
→ |
결과발표 |
신청방법 및 서류
- 신청방법
- ㅇ 해당 지원 기관으로 신청 기한 내에 직접 내방접수 및 우편접수
- 우편 소인 날짜가 마감 날짜인 경우 접수 가능
- 제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※ 자세한 접수처는 하단의 [문의처] 참조
- ㅇ 해당 지원 기관으로 신청 기한 내에 직접 내방접수 및 우편접수
- 신청서류
- ㅇ 지원신청서 및 관련 서류
- 첨부된 신청양식 참조
- 각 사업별 계획서는 가급적 상세히 기재 요망
※ 붙임: 각 신청 기관별 지원신청서 서식 참조
- ㅇ 지원신청서 및 관련 서류
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주관기관 | 전라남도 | 담당부서 |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홈페이지 URL | http://www.jeonnam.go.kr/ | |
담당자명 | 담당자 전화 | ||
담당자 FAX | 담당자 이메일 |
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주관기관 | 전남테크노파크 | 담당부서 |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홈페이지 URL | http://www.jntp.or.kr/ | |
담당자명 | 전남테크노파크 담당자 | 담당자 전화 | |
담당자 FAX | 담당자 이메일 |
기타사항
- 문의처
-
ㅇ 전남테크노파크
- (540-856) 전남 순천시 해룡면 호두리 율촌제1지방산단 6블럭
(재)전남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 신재생에너지팀
- 김현훈 연구원(khh2727@jntp.or.kr), 주세라 연구원(jsr0104@jntp.or.kr)
ㆍ Tel : 061-729-2572, 2573, Fax : 061-729-2975ㅇ 전북대학교 신재생에너지 소재개발지원센터
- (579-832) 전북 부안군 하서면 신재생에너지로 20-27
- 한수용 팀장(syhan@jbnu.ac.kr), 김준영 연구원(jykim80@jbnu.ac.kr)
ㆍ Tel : 063-580-1520, 1522, Fax : 063-581-9575ㅇ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
- 풍력
ㆍ (500-480)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1110-9
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 동력부품연구그룹 이규석 연구원
Tel : 062-600-6212, Fax : 062-600-6219, E-mail : sky2931@kitech.re.kr
- 태양광
ㆍ (500-480)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1110-9
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 솔라시티센터 정혜정 연구원
Tel : 062-600-6162, Fax : 062-600-6179, E-mail : jeong124@kitech.re.kr
ㅇ 전자부품연구원 광주지역본부
- (500-480)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1110-11 전자부품연구원 광주지역본부 연구동 211호
- 최정식 선임연구원(cjs1108@keti.re.kr), 박철 연구원(pachoo@keti.re.kr)
ㆍ Tel : 062-975-7038, 7078, Fax : 062-975-7039
-
- 기타사항
- ※ 자세한 사항은 전남테크노파크(http://www.jntp.or.kr) → 정보광장 → TP통합
소식을 참조(☞ 바로가기)
- ※ 자세한 사항은 전남테크노파크(http://www.jntp.or.kr) → 정보광장 → TP통합
특허/디자인/상표 길잡이 브레인국제특허 http://brainasset.net
대표전화 02-869-0787